아두이노란?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진, Open source를 기반으로 한 단일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만들어진 보드 및 개발환경을 지칭하는 말.
센서나 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구현하여 LED, LCD 같은 소형 기기들을 제어 가능한 임베디드 기기 중 하나이다.
-우측 상단의 14개의 디지털 핀과, 우측 하단의 6개의 아날로그 핀을 이용하여 기기들을 연결하고, 제어 할 수 있다.
-사용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는 ATmega종류인 megaAVR 시리즈가 사용.
-아두이노 UNO R3는 ATmega328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사용한다.
사용 전압 |
5V |
EEPROM |
1KB(1024 Byte) |
SRAM |
2KB(2048 Byte) |
Clock 속도 |
16 MHZ |
입력 전압 |
7~12V(권장), 6~20V(제한) |
Flash Memory |
32KB(32768 Byte) |
그러면 이제 본격적인 개발환경을 구축해보자.
아래 링크를 타면, 개발환경 (Arduino IDE)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Arduino - Software
By downloading the software from this page, you agree to the specified terms. THE ARDUINO SOFTWARE IS PROVIDED TO YOU "AS IS" AND WE MAKE NO EXPRESS OR IMPLIED WARRANTIES WHATSOEVER WITH RESPECT TO ITS FUNCTIONALITY, OPERABILITY, OR USE, INCLUDING, WITHOUT
www.arduino.cc
상단 메뉴바에서 툴을 선택하게 되면, 아래 포트 부분이 회색으로 비활성화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왜냐면 아직 아두이노 기기와 컴퓨터가 연결이 안 되어있기 때문이다.
기기와 연결을 하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포트 부분이 활성화되고 이것을 선택하여하면 된다.
그럼 간단한 실험을 위해 아~~주 간단한 코드를 작성하여보자.
간단한 코드를 위와 같이 작성하고 나서, (설명은 주석에 첨부)
좌측 상단에 업로드 버튼을 누르게 될 시 컴파일을 진행하게 되는데, 첫 컴파일 시 파일 이름을 지정하는 창을 띄워주게 된다.
문제없이 컴파일(업로드)이 된다면, 이제부터 자유롭게 개발하면 된다.
'장난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VNC(라즈베리파이 원격조종) 방법 (0) | 2020.09.28 |
---|---|
라즈베리파이 40개의 Connector pin에 대한 설명 (0) | 2020.08.05 |
라즈베리파이와 파이썬을 이용한 아주 간단한 LED 실험 (0) | 2020.08.04 |
라즈베리파이3 (B+) 한글 패치 방법 (0) | 2020.08.04 |
라즈베리파이 입문(준비물,설치, 개발환경 구축) (0) | 202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