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4

IPv4 의 구조

IPv4의 헤더는 통상 20byte이며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다. 명칭 설명 길이(bit) Version IP의 버전을 의미한다. IPv4가 들어갈 것. 4bit IHD(IP Header Length) Header의 전체 길이 4bit TOS(Type of service) -서비스 유형(DSCP 6bit) : 네트워크 제어에서 우선순위가 000이면 제일 낮고 111이면 제일 높다. -혼잡 알림(ECN 2bit) : 00은 ECN 사용X, 01,10은 ECN기능을 수용함을 나타냄. 11은 혼잡 발생 표시 8bit Total Length 총 IP packet의 길이 16bit Identification 식별자로 동일 데이터그램에는 동일한 값이 들어간다. 16bit Flags 단편화된 패킷의 flag이며 0이..

Network 2020.11.30

Store and forward, Cut through, Fragment free 비교

Store and forward : switch로 들어오는 frame을 모두 받고, 에러처리 후 forwarding을 하는 방법으로 에러탐지가 용이하지만 모든 프레임을 검사하기에 속도가 느린편이다. Cut through : switch로 들어오는 frame의 목적지주소만 확인하여, forwarding 시킨다. 목적지 주소만 확인하기에 에러탐지가 어렵고, 대신 속도는 빠른편이다. Fragment free : switch로 들어오는 frame의 64bytes만 읽고 적절한 에러처리 후 forward시키는 방법으로, 적절한 에러처리와 적절한 속도, 즉 Store and forward와 Cut through의 중간정도라고 보면 될 것 같다.

Network 2020.09.28

CSMA(CSMA/CD, CSMA/CA)

반송파 감지 다중접속방법이다. 매체가 사용중인지 확인하고 다중접속하는 방식. 패킷의 송출을 개시하기 전에 채널이 사용중인지 아닌지 확인을 위해 반송파로 측정을 한다. 사용중이면 채널이 빌 때 까지 합리적방식(행동양식)으로 대기하고, 비어있다면 자신의 패킷을 전송하고 송출, 전송한다. 3가지 persistent CSMA 방식 1) 1-persistent CSMA - 충돌 안될거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함. 사용중이지 않은 것 감지하자마자 즉시 매체접근해서 데이터 프레임 송출함. 충돌 발생 가능성이 제일 크므로 채널 사용률이 낮은 대신에 대기시간은 짧다. 2) nonpersistent CSMA - 반드시 충돌 할 것이라고 비관하여 비록 사용중이지 않은 것을 감지해도, 확률 분포에서 얻어진 임의시간만큼 무조건 기다..

Network 2020.08.04

OSI 7계층 통합정리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이란 ?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국제 표준화 기구(ISO) 에서 개발한 모델이며 총 7단계가 있다. --------------------------------------------------------------------------------------------------------------------------------- 1단계: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시스템의 물리적인 부분을 표현하고 있다. 전송 속도, 신호의 레벨, 신호 인/디코딩 등등 단말기와 전송매체 사이 인터페이스 정의, 2단계 Layer 인 데이터링크계층 엔티티 간 비트전송을 위해 물리적인 수단 제공 핀배치, 주파수..

Network 2020.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