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파이를 아래 사진처럼 보게되면 좌측 상단에 각기 다른 기능을 하는 핀 40여 개를 가지고 있다.
해당 기기 : 라즈베리파이3 B+
이 글에서 다룰 내용은 위 사진의 빨간 직사각형 부분에 대하여 다룰 것이고, 저 부분이 핀이다. (세보면 40개다.)
이제 핀에 대해 간단한 설명을 적어놓았는데 적어놓은 Pin number는 물리적인 핀의 번호일 뿐이지 각 핀의 이름은 위와 같이 존재한다는 것을 참고하면 되겠다! ex) Pin number가 18 : GPIO24
-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범용 입출력) 핀 24개 -
이 GPIO 핀은 해석 그대로 원하는 여려 용도에 따라 입출력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3.3V Logic)
Pin number : 3, 5, 7, 11, 12, 13, 15, 16, 18, 19, 21, 22, 23, 24, 26, 29, 31, 32, 33, 35, 36, 37, 38, 40
-GND( Ground, 접지) 핀 8개 -
이 GND핀은 이상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하며, 안전 차원에서 필수다.
Pin number : 6, 9, 14, 20, 25, 30, 34, 39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핀 2개 ( TX(발신용), RX(수신용) )-
☞기기-기기 or 기기-컴퓨터 간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비동기식으로 할 수 있게 해주는 Pin이고, TX, RX 두 개의 핀이 존재하기에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하다.
Pin number : 8(TX), 10(RX)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핀 총 9개-
1대 1 통신 말고도 1대 다수 통신을 동기식으로 할 수 있게 해주는 Pin이고,
2개의 SPI를 사용할 수 있다.(SPI0, SPI1)
MOSI(Master out slave in) : 마스터에서 나와서 슬레이브로 들어감.
MISO(Master in slave out) : 슬레이브에서 나와서 마스터로 들어감.
SCLK : 동기식이니까 클록이 있어야 할것인데 그거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CE : 총 2개가 존재하며, 즉 2X2 4개 선택 신호를 택할 수 있고, 마스터의 출력으로부터 슬레이브로 들어가는 것을 선택하게 해준다. ( SPI1은 CE핀이 1개만 존재( CE0 만 ) )
각각 , 총 5개씩(CE를 2개로 보면) 핀이 존재하여야 하는데 SPI1은 CE핀이 1개여서 총 9개가 되는 것.
여기서 마스터랑 슬레이브는? 마스터는 주인, 즉 통신에 있어서 주체가 되는 대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슬레이브는 노예, 즉 마스터에 종속적이며 그 명령을 따른다고 보면 되겠다.
이 핀은 GPIO 핀으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Pin number : 19(SPI0의 MOSI), 21(SPI0의 MISO), 23(SPI0의 SCLK), 24(SPI0의 CE0), 26(SPI0의 CE1), 35(SPI1의 MISO), 36(SPI1의 CE0), 38(SPI1의 MOSI), 40(SPI1의 SCLK)
-I2C Pin 2개-
이거 수업시간에 배운 기억이 얼핏 있는데 Atmel에선 TWI라고 하더군요.
동기식으로 작동하는 통신 방법으로 , UART보다 많이 쓴다고 합니다ㅎㅎ
하나의 마스터를 최대 2^7-1개 즉 127개의 슬레이브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SDA, SCL 2개의 핀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SDA :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선 , 즉 송신 수신 다 가능
SCL : 얘도 동기식이니까 클록이 필요
얘도 GPIO2와 GPIO3을 같이 공유해서 사용합니다.
Pin number : 3(SDA), 5(SCL)
-Reserved Pin 2개-
보류된, 즉 만들어 놓았긴 하지만 사용하지 않는 핀이다.
Pin number : 27, 28
-3.3V Power 핀 2개-
3.3V 전압을 제공해주는 핀.
Pin number : 1, 17
-5V Power 핀 2개-
5V 전압을 제공해주는 핀.
Pin number : 2, 4
3.3V, 5V 모두 DC(직류전류) 임
'장난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VNC(라즈베리파이 원격조종) 방법 (0) | 2020.09.28 |
---|---|
라즈베리파이와 파이썬을 이용한 아주 간단한 LED 실험 (0) | 2020.08.04 |
아두이노의 특징과 개발환경 (0) | 2020.08.04 |
라즈베리파이3 (B+) 한글 패치 방법 (0) | 2020.08.04 |
라즈베리파이 입문(준비물,설치, 개발환경 구축) (0) | 2020.08.04 |